<
본문 바로가기

정보

전기요금 절약방법

 

안녕하세요 솔찡슬찡입니다.

여름에는 에어컨요금으로 전기요금 폭탄을 맞고, 겨울에는 난방요금으로 전기요금을 폭탄 맞는 상황입니다.

이럴 때는 날씨때문에 어쩔 수 없지요. 하지만 생활 습관에서 전기요금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조금만 신경써준다면 조금이라도 전기절약을 할 수 있으니 유의해서 보시고, 지금 한번 바로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계절과 장소에 따른 전기절약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름철 절전요령]

가정에서는 여름철 전력피크시간대(오후 2시~5시)에는 전기사용을 최대한 자제합니다. 에어컨 등 전기냉방기기의 사용은 자제합니다. 사용시간 외 tv, 컴퓨터, 충전기 등의 플러그는 뽑습니다. 실내온도는 26℃ 이상으로 유지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조명은 완전 소등합니다.

사무실에서는 여름철 전력피크시간대를 피하고, 에어컨 등 전기냉방기기 사용은 자제하고 선풍기를 사용합니다. 컴퓨터, 프린터 등 사무기기를 장시간 미사용시 전원을 차단합니다. 엘리베이터는 4층 이하 저층은 운행하지 않고, 5층 이상은 격층 운행합니다. 실내온도를 26℃ 이상으로 유지하고, 중식시간 및 퇴실 1시간 전에는 냉방기 가동을 중지합니다. 여름철 전력피크시간대에는 냉방기 순차 운휴를 실시합니다. 점심시간, 야간시간에는 일괄 소등하되, 필요한 부분만 점등합니다. 사무기기, 자동절전 멀티탭 등은 대기전력저감 우수제품을 사용하고,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인증제품 또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사용합니다. 전기냉방은 가급적 피하고, 지역 냉방 또는 가스냉방 등을 활용합니다. 백열등은 형광등, LED조명과 같은 고효율조명으로 교체합니다.

상점에서는 출입문을 닫고 에어컨을 가동하고, 간판이나 옥외조명은 최대한 소등합니다. 개방형 냉동,냉장 진열장은 냉기가 새지 않도록 비닐커튼을 설치합니다. 상점 출입구는 회전문이나 이중문을 설치합니다. 주차장의 조명은 구획별로 밝기를 조절합니다. 주간에는 창측 조명을 소등하고 자연채광을 이용합니다.

제조시설은 실내용 환기팬은 상시 가동하지 않고 적정 주기로 가동합니다. 전력 위기시를 대비하여 주요 설비의 Shut-down 순위를 선정합니다. 사업장에 최대수요전력 감시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사업장 전기 낭비 점검 패트롤을 운영합니다.

교육시설은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를 설치하여 대기전력낭비를 막습니다.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인증제품 또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사용합니다. 전기난방은 가급적 자제하고, 지역냉방 또는 가스냉방 등을 활용하여 냉방을 실시합니다.

의료시설은 병원건물의 전체 조명용 전등은 부분 조명이 가능하도록 여러 개의 전등 군으로 구분하고, 전등군마다 점멸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사회복지시설은 세탁기는 한 번에 모아서 사용하고, 음식물은 60%만 넣어 냉기순환이 잘되도록 합니다. 전기밥솥 대신 압력솥을 이용하고 창문(커튼),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여 에너지낭비를 막습니다.

숙박시설은 사무기기, 비데, 자동절전 멀티탭 등은 대기전력저감 우수제품을 사용하고, 연회장 및 회의장은 집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또록 가급적 예약시간을 조정합니다.

[겨울철 절전요령]

① 전열기의 온도는 한 단계 낮게 조절(강에서 약으로)하여 사용합니다.

②세탁기는 한 번에 모아서 사용합니다.

③식기세척기는 가득 찰 때만 사용합니다.

④전기밥솥 대신 압력솥을 이용합니다.

⑤TV나 컴퓨터의 사용시간을 하루 1시간 줄입니다.

⑥컴퓨터는 절전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합니다.

⑦청소기는 한 단계 낮게 조절(강에서 중으로)하여 사용합니다.

⑧냉장고는 벽과 거리를 두고, 주기적으로 뒷면 방열판을 청소합니다.

⑨실내온도는 겨울철 건강온도(20℃)를 유지하고 내복을 입습니다.

위의 내용 몇 가지만 기억해 두었다가 실천해도 많지는 않지만 적게라도 요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를 절약해야 하는 이유는 요금 뿐만아니라 전기부족사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 모두가 절약해서 살기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상 솔찡슬찡이였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땀띠 예방법과 관리법  (0) 2017.07.19
백내장 수술후 사후관리법  (0) 2017.07.18
전기요금 할인대상 알아보기  (0) 2017.07.18
장기기증하는방법과 절차  (0) 2017.07.18
우리나라 5대국경일 알아보기  (0) 2017.07.17